
Shape of Dreams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세이브 파일 변환해서 별가루는 많은데 숙련도 레벨 짜증나는 사람은 아래 따라하셈
1. win + R > %USERPROFILE%/AppData/LocalLow/Lizard Smoothie/Shape of Dreams/QuickSave
2. 세이브 파일 열기 "r_stats-randomstring.json"
3. ctrl+f "masteryLevel"
4. masteryLevel 수정하고 저장
데모는 뇌녹이기 좋아서 재밌었는데 네오위즈에서 이상한 훈수가 들어갔는지는 모르지만.....
비추박을만한 게임은 아니니 추천함
----------------------------------------
음 그래그래 하면 잘 하잖아 왜그랬어
앞으로도 이렇게만 해다오
핫픽스하고 정상화됨
Sep 11, 2025

76561198271293502

Recommended24 hrs played (5 hrs at review)
재밋음 ㅇㅇ 휴가낸 보람이 있는 게임.
레벨 올리면서 이 조합 해보고 저 조합 해보고 스킬 뚫다보면 시간 순삭임.
밑 글 요약 : 해본 놈들이 데모에서 만랩찍고 무쌍하던걸 정발 시작하자마자 원하는 찐따들임. 처음부터 시작해도 재밋으니 ㄱㄱ
진짜 데모버전 플레이한 추한 찌꺼기들이 왜이렇게 많음?
징징거릴 거로 징징거리셈. 허접인거 티내지 말고 데모때도 특성 안찍고 시작하는 처음에 힘들었음.
데모한 사람들 생각없이 자각몽 다 키고 악몽으로 들어갔는데 힘들다고 징징거린거면 니 뇌에 문제가 있는거고 난이도 낮췄는데도 힘들면 니 손에 문제있는거임. 그냥 난이도 낮춰서 천천히 하셈.
그리고 데모 그대로 옮겨오면 토끼공듀질 할거면서 왜 징징거림? ㅋㅋㅋ
렙 올리기 귀찮아요 징징
약해진게 싫어요 징징
렙 낮아서 특성 못 찍는거 불쾌해요 징징
새로나온 정수 스킬 써보면서 돌리니까 3판하니 10 찍는데, 해본 놈들이 찐따같이 전이랑 다르다 귀찮다 힘들다 징징거리는게 너무 추함. ㅋㅋ 새로나온 정수랑 기억 해금하고 신캐 해보면 50 금방이다. 어떻게 플레이 해도 축제 개꿀잼 게임인데 안해본 사람들 보라고 적는 평가창에 "나 데모에서 다썰고 개쩔었는데 렙 제한이랑 특성 제한 둬서 불쾌해요 찡찡" 하면서 허접 찌끄레기 티좀 내지마라.
니들이 게임을 못해서 그래.
6 votes funny
76561198271293502

Recommended24 hrs played (5 hrs at review)
재밋음 ㅇㅇ 휴가낸 보람이 있는 게임.
레벨 올리면서 이 조합 해보고 저 조합 해보고 스킬 뚫다보면 시간 순삭임.
밑 글 요약 : 해본 놈들이 데모에서 만랩찍고 무쌍하던걸 정발 시작하자마자 원하는 찐따들임. 처음부터 시작해도 재밋으니 ㄱㄱ
진짜 데모버전 플레이한 추한 찌꺼기들이 왜이렇게 많음?
징징거릴 거로 징징거리셈. 허접인거 티내지 말고 데모때도 특성 안찍고 시작하는 처음에 힘들었음.
데모한 사람들 생각없이 자각몽 다 키고 악몽으로 들어갔는데 힘들다고 징징거린거면 니 뇌에 문제가 있는거고 난이도 낮췄는데도 힘들면 니 손에 문제있는거임. 그냥 난이도 낮춰서 천천히 하셈.
그리고 데모 그대로 옮겨오면 토끼공듀질 할거면서 왜 징징거림? ㅋㅋㅋ
렙 올리기 귀찮아요 징징
약해진게 싫어요 징징
렙 낮아서 특성 못 찍는거 불쾌해요 징징
새로나온 정수 스킬 써보면서 돌리니까 3판하니 10 찍는데, 해본 놈들이 찐따같이 전이랑 다르다 귀찮다 힘들다 징징거리는게 너무 추함. ㅋㅋ 새로나온 정수랑 기억 해금하고 신캐 해보면 50 금방이다. 어떻게 플레이 해도 축제 개꿀잼 게임인데 안해본 사람들 보라고 적는 평가창에 "나 데모에서 다썰고 개쩔었는데 렙 제한이랑 특성 제한 둬서 불쾌해요 찡찡" 하면서 허접 찌끄레기 티좀 내지마라.
니들이 게임을 못해서 그래.
6 votes funny
76561199102791487

Recommended11 hrs played (3 hrs at review)
아우레나 비키니 스킨 출시해주세요
3 votes funny
76561198008240397

Not Recommended31 hrs played (6 hrs at review)
개발자들 방향을 잘못 잡은것 같음
기억 업그레이드 해서 쿨다운 줄이는것 없애서
게임이 겁나 답답해짐
슬롯 4개로 스킬 스팸하면서 정수 조합하고
쓸어먹는 핵앤슬레쉬 재미가 없으니까 게임 족쇄 찬것처럼 답답함
물속에서 허우적대는 느낌
숙련도 시스템도 비추 노가다처럼 느껴짐
별자리 시스템 짜증나게 마우스 좌클릭하면 렙 오르게 하지 편의성 뭐임
하나 하나 클릭해서 구매 예 아니오 누르는거 진짜 누구 머리에서 나온거야
스킬 업그레이드 해도 쿨탐이 줄어들지 않으니까
무조건 기억들마다 쿨탐 줄이는 정수 박아야 함
다양성을 보장한다면서 왜 후반부에 자유롭게 정수 셋팅할 수 있었던 것을
무조건 쿨탐 줄이는 정수 기억마다 박도록 만들었는지 노이해
데모 버전 + 프롤로그 버전 총 200시간 넘게 플레이했는데 정식출시하고 손땔듯
3 votes funny
76561197993673587

Recommended30 hrs played (14 hrs at review)
데모도 굉장히 재밌게 즐긴 입장에서 정식 출시 버전도 아주 마음에 듦.
더 많아진 기억들과 정수로 인해 새로 시도해볼 수 있는 여러가지 빌드를 짜볼 수 있는 기회들.
보는게 즐거운 수려한 비주얼의 새 테마 필드.
새로 개편된 별자리 또한 로드아웃을 포함해 즐겨 하던 아우레나 전용 특성들도 해금 되어서 매우 좋음.
-
다만 지금 조금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는 부분에 대해 개인적으로 생각 하는걸 얘기해보고자 함.
데모 때는 확실히 게임이 컴팩트 하다고 해야하나 굉장히 가볍게 즐기기에 좋았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정출 버전과 비교해봤을 때 왜일까 생각해보니 지금은 별자리에서 찍을 수 있는 스킬트리가 숙련도로 잠겨있음.
따라서 별가루를 모아 빠르게 스킬트리를 연속적으로 찍을 수 있는게 아니라 재화를 모아도 숙련도를 채우지 않으면 원하는 스킬을 해금 할 수 없다는 얘기임.
또한 맵의 볼륨 자체가 길어져 한 사이클만 돌아도 피로감이 좀 높아지지 않았나 싶음.
개인적으로 맵 길어진건 불호임.
한 테마의 맵의 길이를 조금 줄이고 다양한 테마를 빠르게 즐길 수 있게 개편되면 훨씬 체감이 좋지 않을까 싶다.
당연히 금시에, 손쉽게 스킬을 해금하고 강해진다면 컨텐츠 소비 속도나 게임을 오래 즐기기에 금방 질릴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그와 별개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지금 셰오드는 데모 버전에 비해 조금 더 피로해지고 무거워졌다고 생각한다.
또 그렇다고 너무 풀어둔다면 게임을 지속적으로 할 만한 성장 동기와 즐거움도 빠르게 소모될 수 있다고 생각함.
하지만 셰오드는 로그라이크 장르이며 개발자 본인들이 가장 강점으로 생각하는, 기억과 정수를 통해 수없이 많은(효율적이고 기상천외하고 강력하거나 또는 약하지만 낭만 있는) 빌드를 짤 수 있게 설계 되었기 때문에 유저들은 게임을 조금 풀어둔다고 해도 빌드 연구의 편의나 여지를 준다면 시간 살살 갈아서 플레이 할 사람들 많다고 생각함.
-
지금 나도 데모판에 비해 조금 피로해지고 불호 요소가 있지만 개발자 인터뷰를 봤을 때 이 게임에 대한 이해와 애정이 크고 직접 플레이 하며 고민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금방 피드백이 될거라 생각해서 게임을 추천하는 바임.
일단 나는 로그라이크도 좋아하지 않고 MOBA 장르를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게임이 존나 재밌음.
헤비 게이머로서 성장이 조금 더디고 어렵다고 해도 요소만 있다면 싹싹 긁어서 할 의지도 있음.
다른 유저들도 셰오드가 잘되길 바란다면 냅다 비추천으로 평가를 내려치려고 하는 것보단 추후 피드백 내용을 보고 판단해도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함.
-
25. 9.12. 새벽에 진행된 핫픽스로 기존 데모 유저들은 시간 비례 숙련도 경험치를 지급 받고 필드 재화 등도 완화 하는 개꿀 패치가 진행됨.
이걸로 기존에 컨텐츠 좀 맛 봤던 데모 유저들도 처음부터 숙련도를 올려야 하는 피로감도 훨씬 완화 되었고 조금씩 스킬 트리를 타기 시작하니까 필드 난이도 완화, 성장 가속화가 시작됨.
기존 데모 진행했던 사람들이 처음부터 먼치킨마냥 다 패고 다니는 도파민을 원한 것 같은데 그건 너무 욕심이고 정식 출시 빌드는 처음부터 차근히 진행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욕심 많은 데모 유저들이 근본도 없는 이상한 비평에 휩쓸려서 평가에 지장이 생긴 것 같은데 로그라이크 핵앤슬 좋아하는 유저에겐 최소 평타 이상 치는 게임이라고 확신할 수 있으니 정가 기준으로도 살만하다고 추천함.
2 votes funny
76561198024330219

Not Recommended12 hrs played
게임 개발자가 nc에서 왔나... 파멸의 아귀인지 골드로 업글하는게 실패하면
강화가 사라지게 하는걸로 만들어야지 아예 스킬 자체가 사라지게 만들면 어쩌라는건지.
출시 하자 마자 구입해서 재밌게 하다가 기분 잡치네
2 votes funny
76561198005754008

Not Recommended1 hrs played (1 hrs at review)
1. 컨트롤 재미없음
2. 키우는 재미없음
3. 멀티 재미없음 (혼자가 훨 나음)
4. 게임의 목적성 없음
5. 발적화. 단순한 게임인데 그래픽 카드 탄다.
6. 쓸데없는 스토리 설정
7. 얼리에서 발전하지 못함
8. 한두시간은 흥미로 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은 질림
9. 걍 재미없음. 뇌절 게임임
1 votes funny
76561198123090007

Not Recommended3 hrs played (3 hrs at review)
해금 재화 퀘스트 형식으로 많이 주는거 바꿨으면 좋겠음 진짜 찔끔찔금 해금하는 꼬라지 보면 성장하는 재미가 너무 떨어짐. 로그라이트 특유의 가벼움이 부재되어 있어서 게임 자체가 조금 피곤함. 게임을 처음 하다보면 맵 하나하나의 호흡이 긴데, 후반에 해금하면 뭔가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초반에는 반복적으로 해금하는 작업이 너무 지루함. 개인적으로 지금 사는거 비추천..
1 votes funny
76561198107081536

Recommended15 hrs played (5 hrs at review)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1 votes funny
76561199214113058

Not Recommended1 hrs played
데모 - poe1
정발 - poe2
데모버전으로 게임 따로 파는게 더 잘팔릴듯
1 votes funny
76561198049793241

Not Recommended10 hrs played (1 hrs at review)
레퍼런스에 대한 이해와 존중 없이 태어난 키메라
장르에 대한 몰이해 혹은 무시
으레 한국 인디 게임 개발자들이 그렇듯 오마주란 단어 뒤에 숨어, 해외 게임이 쌓은 성취들을 무단으로 베껴와 섞으면 큰 돈을 벌 수 있지 않을까란 오만함이 게임 곳곳에서 악취처럼 풍겨나온다. 제대로 된 절차적 생성도 없고,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짓수의 변수들을 조삼모사 식으로 배치해 랜덤 흉내를 내고 있으며, 퍼마 데스는 고민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지만, 온갖 마케팅 채널에서는 자랑스레 로그라이크를 내걸고 있는 자태는 웃음이 나올 정도다. 리스크 오브 레인 2의 외견과 패스 오브 엑자일의 스킬 시스템, FTL의 루트 선택, 유비소프트식 오픈-월드에서 질리도록 본 패시브 스킬 트리 등 업계의 기라성 같은 게임들을 레퍼런스 삼았으면서도, 해당 시스템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곡해하는 수준의 구성들을 찾아볼 수 있다.레퍼런스라는 이름의 게으른 카피
베껴온 각 요소들은 전혀 어우러지지 못하고 따로 놀고 있으며 유니티 에셋스토어에서 긁어온 것 같은 저열한 퀄리티의 프랍들, 산만한 UI, 통일성 없는 몬스터 디자인과 지역 테마가 원색적인 글로우와 섀이더의 아트 디렉팅과 맞물려 대체 뭘 만들고 싶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FTL과 슬레이 더 스파이어를 그대로 베낀 루트 시스템은 선택의 딜레마가 전혀 없고, 강요된 선택에서 오는 압박감의 부재는 말할 것도 없다.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비슷비슷하게 생긴 매우 짧은 '사전 지정된' 형태의 스테이지들에서, 지형적 난관이 전무한 채 엇비슷한 적이 엇비슷한 수로 등장해 엇비슷한 패턴 속에서 똑같은 전투를 하는 상황이 함께 끊임없이 반복된다. 똑같은 싸구려 숏폼 영상을 끊임없이 보는 고문이나 다름없다. 동시에 성장에 드는 재화는 국산 MMORPG 마냥 세분화 되어있는 동시에 수급의 흐름은 레벨 x N 식의 정적 스케일링에 가깝게 구성하여 끊임없이 봐야하는 싸구려 숏폼 영상이 지루하기까지 한 우스꽝스러운 경험이 펼쳐진다. 스킬 시스템은 패스 오브 엑자일을 그대로 베꼈으면서도 정작 스킬 자체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질리도록 본 스킬셋들의 게으른 반복이며, 각종 정수는 대상 스킬의 형태나 방식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저 색깔 놀이 마냥 붙어있는 속성 태그에 따라 쓰리매치 퍼즐 게임을 하듯 빈칸을 채우며 미미한 수치 놀음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그마저도 정수 업그레이드가 받쳐주지 않으면 유의미한 변화를 느낄 수 없다.오만함
이렇듯 개발팀 리자드 스무디는 액션 로그라이크를 참칭하면서도, 엔터 더 건전의 탄막이든, 뉴클리어 쓰론의 거리 조절이든, 스펠런키의 창발적 연계든, 리스크 오브 레인 속 스킬과 아이템의 조합이든, 자신들이 뭘 만들고 있고 그것이 장르의 계보에서 어떤 위치에 놓일지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고민한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단 하나도 스스로 만든 부분을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그저 내가 히오스를 재밌게 했으니, 리스크 오브 레인을 재밌게 했으니 이런 기능 몇 개 베껴와 섞으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학부생 수준의 오만함만이 느껴진다. 통일성 없는 몬스터 디자인, 알 수 없는 지역 테마 등 누더기 골렘마냥 이 게임 저 게임을 얼기설기 엮어 만든 이 키메라는, 심각한 구조적 결함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이 아플정도로 원색적 글로우 범벅인 섀이더로 아닌척 하고 있다. 그 와중에 자랑스레 내보이는 꿈속으로의 여행이니 정수니 하는 각종 설정들은 리스크 오브 레인의 시스템 혹은 설정들과 '정확히' 1:1로 대응 가능하다. 굳이 단어의 수준과 설정의 독창성이 양판소 혹은 웹소설 지망생의 수준임을 짚을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신토불이를 넘어
시리즈 투자유치를 자랑스레 개발팀 홈페이지에 적어둔 '청년 창업가'의 아비투스 속에 갖혀있으면서도 인디라는 이름으로 국가 세금에 기생하고, 잘 만든 타사 게임 몇 개 섞어 버무리면 어찌저찌 한 탕 해먹을 수 있겠다는 망상이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면 제발 생각을 고쳐먹길 바란다. 당신이 만든 게임은 장르에 대한 모욕이자 당신이 베낀 게임 개발자들의 노고에 대한 모욕이다. 반짝거리는 마케팅 에셋 들고 거대 퍼블리셔 피칭 순회 돌며 투자금 당겨온 걸 자랑할 시간에 자기가 베낀 선배들이 남긴 유산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뤄낸 성취들인지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게 먼저 아니냔 말이다. 대체 왜 한국 인디 게임 플레이어들은 이런 대우를 받아야하는가? 왜 학생이란 이름 뒤에, 인디라는 이름 뒤에, '국산' 이라는 이름 뒤에 숨어 도떼기 시장 보따리상이 가져온 해적판 수준의 열화 카피 제품에 대단함을 느껴야 하는가. 왜 한국 게이머들은 수준 높은 플레이 베이스를 갖고 훌륭한 게임들을 선별할 뛰어난 안목들을 가졌음에도, 단순히 희귀하고 시장이 작다는 이유만으로, '그래도 이정도면 괜찮다는 배려'로 이런 표절 비빔밥을 맛있다고 먹고 있어야 하는가. 세상은 넓고 좋은 게임은 많다. 제발 당신의 시간과 돈을 아끼길 바란다.1 votes funny
76561198197683781

Recommended4 hrs played (1 hrs at review)
딱 좋구만 재미있음
그런데 친구없으면 안할거 같긴함
멀티 기능 있어서 친구랑 같이 하면 진짜 재미있음
친구없는 사람에게는 추천 하기에는 좀 아닌듯ㅋ
1 votes funny
76561198035191394

Recommended6 hrs played (3 hrs at review)
스킬난사 으허~~~ 이게 핵앤 슬래시고, 로그라이크지~~~
병신들
매달 59459304528개씩 쏟아지는 스킬20348123490개 난사 뱀서류 안하고
왜 여기서와서 데모랑 다르다고 땡깡부리는지 모르겠네
POE2개발중인 그라인딩 기어 게임즈는 장르에 대한 모욕을 했다고 보이콧 하실분들
1 votes funny
76561197972775652

Recommended1 hrs played
지스타 때 시연 후에 정발 소식에 바로 구매 했습니다. 축하드려요
지스타 데모 ~ 프롤로그부터 해왔는데요, 게임의 템포가 많이 바뀐 느낌이네요
각 1판 당 플레이 주기를 강제로 길게 늘린 느낌이에요, 그래서 쿨타임 피드백이 나오는 것 같구요.
다만 게임성 자체, 액션성에 연속 된 조작감 등은 최근 해본 게임 중에 최상위라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재밌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votes funny
76561198119233033

Recommended13 hrs played (4 hrs at review)
1 votes funny
76561198391893509

Recommended25 hrs played (16 hrs at review)
데모, 프롤로그에 이어 정식 출시 후 잠시 겜을 들어가봤는데 숙련도 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완전 생뉴비가 된 느낌입니다.(회귀해서 스킬은 알고있지만 조건이 안돼서 못 쓰는 그런 느낌..)
구매하자마자 남기며 새로 키우는 맛을 다시 느끼러 떠납니다
=====================================================================
오픈 플레이 간단 리뷰 남긴 이후 플레이 해본 결과
1. 데모를 해봤던 유저들의 도파민 감소 하지만 다양해진 빌드로 인해 새로운 경험이 있음
데모, 프롤로그 때처럼 레벨업, 성장 폭과 속도가 빠르지 않아서 초반 도파민이 부족함
예전처럼 스킬트리 전부 찍는다고 다 사용 가능한게 아닌 것과 난이도별 어려움 정도가 커진게 크다고 봄
단, 새로 바뀐 시스템에 적응하고 빌드 맞춰지면 예전만큼은 아니더라도 최종보스가 막페까지 30초가 안걸리는 괴랄한 빌드가 만들어짐(신캐로 해봄)
2. 출시 직후 성장의 불편함이 컸지만 당일 신속한 핫픽스
일단 위 내용에서 말했던 빌드를 맞추려면 숙련도가 필요한데 초반에 올리기 너무 힘들었음(핫픽스 직전까지 했을 때 신캐 다 열고 숙련도 총합40까지 찍음)
그런 불편함과 스킬트리를 찍을 재화부족을 당일 핫픽스로 어느정도 해결해줌.
앞으로도 유저들의 목소리를 잘 들어주고 반영하는데에 신경써주는 것을 유지만 해준다면 좋을듯
3. 협동 게임이다보니 추가 콘텐츠가 기대됨
마지막은 데모때부터 느꼈지만 협동게임이라 이후 시련이나 도전 콘텐츠가 나와도 혼자 했을때와 협동으로 했을때의 경험이 달라 재밌을 것 같음.
지금이야 이름이나 캐릭 머리, 하의에 끼는 장식만 있을 뿐 추후에 캐릭별 스킨이 나오면 더 다양하게 보는 맛이 있을듯함.
특히 특수한 업적을 달성 했을 때 또는 한정맵을 열어서 조건을 달성했을 때 주는 한정 스킨이 있으면 얻고자 플레이를 지속할 수 있을듯?
결국 업데이트나 밸런스 패치는 개발사의 몫이겠지만 잘 됐으면 함
1 votes funny
Shape of Dreams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2,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Sep 11, 2025>> 세이브 파일 변환해서 별가루는 많은데 숙련도 레벨 짜증나는 사람은 아래 따라하셈
1. win + R > %USERPROFILE%/AppData/LocalLow/Lizard Smoothie/Shape of Dreams/QuickSave
2. 세이브 파일 열기 "r_stats-randomstring.json"
3. ctrl+f "masteryLevel"
4. masteryLevel 수정하고 저장
데모는 뇌녹이기 좋아서 재밌었는데 네오위즈에서 이상한 훈수가 들어갔는지는 모르지만.....
비추박을만한 게임은 아니니 추천함
----------------------------------------
음 그래그래 하면 잘 하잖아 왜그랬어
앞으로도 이렇게만 해다오
핫픽스하고 정상화됨
Sep 11, 2025

76561198271293502

Recommended24 hrs played (5 hrs at review)
재밋음 ㅇㅇ 휴가낸 보람이 있는 게임.
레벨 올리면서 이 조합 해보고 저 조합 해보고 스킬 뚫다보면 시간 순삭임.
밑 글 요약 : 해본 놈들이 데모에서 만랩찍고 무쌍하던걸 정발 시작하자마자 원하는 찐따들임. 처음부터 시작해도 재밋으니 ㄱㄱ
진짜 데모버전 플레이한 추한 찌꺼기들이 왜이렇게 많음?
징징거릴 거로 징징거리셈. 허접인거 티내지 말고 데모때도 특성 안찍고 시작하는 처음에 힘들었음.
데모한 사람들 생각없이 자각몽 다 키고 악몽으로 들어갔는데 힘들다고 징징거린거면 니 뇌에 문제가 있는거고 난이도 낮췄는데도 힘들면 니 손에 문제있는거임. 그냥 난이도 낮춰서 천천히 하셈.
그리고 데모 그대로 옮겨오면 토끼공듀질 할거면서 왜 징징거림? ㅋㅋㅋ
렙 올리기 귀찮아요 징징
약해진게 싫어요 징징
렙 낮아서 특성 못 찍는거 불쾌해요 징징
새로나온 정수 스킬 써보면서 돌리니까 3판하니 10 찍는데, 해본 놈들이 찐따같이 전이랑 다르다 귀찮다 힘들다 징징거리는게 너무 추함. ㅋㅋ 새로나온 정수랑 기억 해금하고 신캐 해보면 50 금방이다. 어떻게 플레이 해도 축제 개꿀잼 게임인데 안해본 사람들 보라고 적는 평가창에 "나 데모에서 다썰고 개쩔었는데 렙 제한이랑 특성 제한 둬서 불쾌해요 찡찡" 하면서 허접 찌끄레기 티좀 내지마라.
니들이 게임을 못해서 그래.
6 votes funny
76561198271293502

Recommended24 hrs played (5 hrs at review)
재밋음 ㅇㅇ 휴가낸 보람이 있는 게임.
레벨 올리면서 이 조합 해보고 저 조합 해보고 스킬 뚫다보면 시간 순삭임.
밑 글 요약 : 해본 놈들이 데모에서 만랩찍고 무쌍하던걸 정발 시작하자마자 원하는 찐따들임. 처음부터 시작해도 재밋으니 ㄱㄱ
진짜 데모버전 플레이한 추한 찌꺼기들이 왜이렇게 많음?
징징거릴 거로 징징거리셈. 허접인거 티내지 말고 데모때도 특성 안찍고 시작하는 처음에 힘들었음.
데모한 사람들 생각없이 자각몽 다 키고 악몽으로 들어갔는데 힘들다고 징징거린거면 니 뇌에 문제가 있는거고 난이도 낮췄는데도 힘들면 니 손에 문제있는거임. 그냥 난이도 낮춰서 천천히 하셈.
그리고 데모 그대로 옮겨오면 토끼공듀질 할거면서 왜 징징거림? ㅋㅋㅋ
렙 올리기 귀찮아요 징징
약해진게 싫어요 징징
렙 낮아서 특성 못 찍는거 불쾌해요 징징
새로나온 정수 스킬 써보면서 돌리니까 3판하니 10 찍는데, 해본 놈들이 찐따같이 전이랑 다르다 귀찮다 힘들다 징징거리는게 너무 추함. ㅋㅋ 새로나온 정수랑 기억 해금하고 신캐 해보면 50 금방이다. 어떻게 플레이 해도 축제 개꿀잼 게임인데 안해본 사람들 보라고 적는 평가창에 "나 데모에서 다썰고 개쩔었는데 렙 제한이랑 특성 제한 둬서 불쾌해요 찡찡" 하면서 허접 찌끄레기 티좀 내지마라.
니들이 게임을 못해서 그래.
6 votes funny
76561199102791487

Recommended11 hrs played (3 hrs at review)
아우레나 비키니 스킨 출시해주세요
3 votes funny
76561198008240397

Not Recommended31 hrs played (6 hrs at review)
개발자들 방향을 잘못 잡은것 같음
기억 업그레이드 해서 쿨다운 줄이는것 없애서
게임이 겁나 답답해짐
슬롯 4개로 스킬 스팸하면서 정수 조합하고
쓸어먹는 핵앤슬레쉬 재미가 없으니까 게임 족쇄 찬것처럼 답답함
물속에서 허우적대는 느낌
숙련도 시스템도 비추 노가다처럼 느껴짐
별자리 시스템 짜증나게 마우스 좌클릭하면 렙 오르게 하지 편의성 뭐임
하나 하나 클릭해서 구매 예 아니오 누르는거 진짜 누구 머리에서 나온거야
스킬 업그레이드 해도 쿨탐이 줄어들지 않으니까
무조건 기억들마다 쿨탐 줄이는 정수 박아야 함
다양성을 보장한다면서 왜 후반부에 자유롭게 정수 셋팅할 수 있었던 것을
무조건 쿨탐 줄이는 정수 기억마다 박도록 만들었는지 노이해
데모 버전 + 프롤로그 버전 총 200시간 넘게 플레이했는데 정식출시하고 손땔듯
3 votes funny
76561197993673587

Recommended30 hrs played (14 hrs at review)
데모도 굉장히 재밌게 즐긴 입장에서 정식 출시 버전도 아주 마음에 듦.
더 많아진 기억들과 정수로 인해 새로 시도해볼 수 있는 여러가지 빌드를 짜볼 수 있는 기회들.
보는게 즐거운 수려한 비주얼의 새 테마 필드.
새로 개편된 별자리 또한 로드아웃을 포함해 즐겨 하던 아우레나 전용 특성들도 해금 되어서 매우 좋음.
-
다만 지금 조금 입방아에 오르내리고 있는 부분에 대해 개인적으로 생각 하는걸 얘기해보고자 함.
데모 때는 확실히 게임이 컴팩트 하다고 해야하나 굉장히 가볍게 즐기기에 좋았다고 생각하는데 이게 정출 버전과 비교해봤을 때 왜일까 생각해보니 지금은 별자리에서 찍을 수 있는 스킬트리가 숙련도로 잠겨있음.
따라서 별가루를 모아 빠르게 스킬트리를 연속적으로 찍을 수 있는게 아니라 재화를 모아도 숙련도를 채우지 않으면 원하는 스킬을 해금 할 수 없다는 얘기임.
또한 맵의 볼륨 자체가 길어져 한 사이클만 돌아도 피로감이 좀 높아지지 않았나 싶음.
개인적으로 맵 길어진건 불호임.
한 테마의 맵의 길이를 조금 줄이고 다양한 테마를 빠르게 즐길 수 있게 개편되면 훨씬 체감이 좋지 않을까 싶다.
당연히 금시에, 손쉽게 스킬을 해금하고 강해진다면 컨텐츠 소비 속도나 게임을 오래 즐기기에 금방 질릴 수 있지 않을까 싶지만 그와 별개로 본인이 생각하기에 지금 셰오드는 데모 버전에 비해 조금 더 피로해지고 무거워졌다고 생각한다.
또 그렇다고 너무 풀어둔다면 게임을 지속적으로 할 만한 성장 동기와 즐거움도 빠르게 소모될 수 있다고 생각함.
하지만 셰오드는 로그라이크 장르이며 개발자 본인들이 가장 강점으로 생각하는, 기억과 정수를 통해 수없이 많은(효율적이고 기상천외하고 강력하거나 또는 약하지만 낭만 있는) 빌드를 짤 수 있게 설계 되었기 때문에 유저들은 게임을 조금 풀어둔다고 해도 빌드 연구의 편의나 여지를 준다면 시간 살살 갈아서 플레이 할 사람들 많다고 생각함.
-
지금 나도 데모판에 비해 조금 피로해지고 불호 요소가 있지만 개발자 인터뷰를 봤을 때 이 게임에 대한 이해와 애정이 크고 직접 플레이 하며 고민하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에 금방 피드백이 될거라 생각해서 게임을 추천하는 바임.
일단 나는 로그라이크도 좋아하지 않고 MOBA 장르를 좋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게임이 존나 재밌음.
헤비 게이머로서 성장이 조금 더디고 어렵다고 해도 요소만 있다면 싹싹 긁어서 할 의지도 있음.
다른 유저들도 셰오드가 잘되길 바란다면 냅다 비추천으로 평가를 내려치려고 하는 것보단 추후 피드백 내용을 보고 판단해도 괜찮을 것 같다고 생각함.
-
25. 9.12. 새벽에 진행된 핫픽스로 기존 데모 유저들은 시간 비례 숙련도 경험치를 지급 받고 필드 재화 등도 완화 하는 개꿀 패치가 진행됨.
이걸로 기존에 컨텐츠 좀 맛 봤던 데모 유저들도 처음부터 숙련도를 올려야 하는 피로감도 훨씬 완화 되었고 조금씩 스킬 트리를 타기 시작하니까 필드 난이도 완화, 성장 가속화가 시작됨.
기존 데모 진행했던 사람들이 처음부터 먼치킨마냥 다 패고 다니는 도파민을 원한 것 같은데 그건 너무 욕심이고 정식 출시 빌드는 처음부터 차근히 진행하는게 맞다고 생각함.
욕심 많은 데모 유저들이 근본도 없는 이상한 비평에 휩쓸려서 평가에 지장이 생긴 것 같은데 로그라이크 핵앤슬 좋아하는 유저에겐 최소 평타 이상 치는 게임이라고 확신할 수 있으니 정가 기준으로도 살만하다고 추천함.
2 votes funny
76561198024330219

Not Recommended12 hrs played
게임 개발자가 nc에서 왔나... 파멸의 아귀인지 골드로 업글하는게 실패하면
강화가 사라지게 하는걸로 만들어야지 아예 스킬 자체가 사라지게 만들면 어쩌라는건지.
출시 하자 마자 구입해서 재밌게 하다가 기분 잡치네
2 votes funny
76561198005754008

Not Recommended1 hrs played (1 hrs at review)
1. 컨트롤 재미없음
2. 키우는 재미없음
3. 멀티 재미없음 (혼자가 훨 나음)
4. 게임의 목적성 없음
5. 발적화. 단순한 게임인데 그래픽 카드 탄다.
6. 쓸데없는 스토리 설정
7. 얼리에서 발전하지 못함
8. 한두시간은 흥미로 할 수 있으나, 그 이상은 질림
9. 걍 재미없음. 뇌절 게임임
1 votes funny
76561198123090007

Not Recommended3 hrs played (3 hrs at review)
해금 재화 퀘스트 형식으로 많이 주는거 바꿨으면 좋겠음 진짜 찔끔찔금 해금하는 꼬라지 보면 성장하는 재미가 너무 떨어짐. 로그라이트 특유의 가벼움이 부재되어 있어서 게임 자체가 조금 피곤함. 게임을 처음 하다보면 맵 하나하나의 호흡이 긴데, 후반에 해금하면 뭔가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초반에는 반복적으로 해금하는 작업이 너무 지루함. 개인적으로 지금 사는거 비추천..
1 votes funny
76561198107081536

Recommended15 hrs played (5 hrs at review)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관용의 정수 떴냐? (안뜸)
1 votes funny
76561199214113058

Not Recommended1 hrs played
데모 - poe1
정발 - poe2
데모버전으로 게임 따로 파는게 더 잘팔릴듯
1 votes funny
76561198049793241

Not Recommended10 hrs played (1 hrs at review)
레퍼런스에 대한 이해와 존중 없이 태어난 키메라
장르에 대한 몰이해 혹은 무시
으레 한국 인디 게임 개발자들이 그렇듯 오마주란 단어 뒤에 숨어, 해외 게임이 쌓은 성취들을 무단으로 베껴와 섞으면 큰 돈을 벌 수 있지 않을까란 오만함이 게임 곳곳에서 악취처럼 풍겨나온다. 제대로 된 절차적 생성도 없고,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짓수의 변수들을 조삼모사 식으로 배치해 랜덤 흉내를 내고 있으며, 퍼마 데스는 고민의 흔적조차 찾아볼 수 없지만, 온갖 마케팅 채널에서는 자랑스레 로그라이크를 내걸고 있는 자태는 웃음이 나올 정도다. 리스크 오브 레인 2의 외견과 패스 오브 엑자일의 스킬 시스템, FTL의 루트 선택, 유비소프트식 오픈-월드에서 질리도록 본 패시브 스킬 트리 등 업계의 기라성 같은 게임들을 레퍼런스 삼았으면서도, 해당 시스템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거나 더 나아가서는 곡해하는 수준의 구성들을 찾아볼 수 있다.레퍼런스라는 이름의 게으른 카피
베껴온 각 요소들은 전혀 어우러지지 못하고 따로 놀고 있으며 유니티 에셋스토어에서 긁어온 것 같은 저열한 퀄리티의 프랍들, 산만한 UI, 통일성 없는 몬스터 디자인과 지역 테마가 원색적인 글로우와 섀이더의 아트 디렉팅과 맞물려 대체 뭘 만들고 싶었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FTL과 슬레이 더 스파이어를 그대로 베낀 루트 시스템은 선택의 딜레마가 전혀 없고, 강요된 선택에서 오는 압박감의 부재는 말할 것도 없다. 어떤 선택을 하더라도, 비슷비슷하게 생긴 매우 짧은 '사전 지정된' 형태의 스테이지들에서, 지형적 난관이 전무한 채 엇비슷한 적이 엇비슷한 수로 등장해 엇비슷한 패턴 속에서 똑같은 전투를 하는 상황이 함께 끊임없이 반복된다. 똑같은 싸구려 숏폼 영상을 끊임없이 보는 고문이나 다름없다. 동시에 성장에 드는 재화는 국산 MMORPG 마냥 세분화 되어있는 동시에 수급의 흐름은 레벨 x N 식의 정적 스케일링에 가깝게 구성하여 끊임없이 봐야하는 싸구려 숏폼 영상이 지루하기까지 한 우스꽝스러운 경험이 펼쳐진다. 스킬 시스템은 패스 오브 엑자일을 그대로 베꼈으면서도 정작 스킬 자체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서 질리도록 본 스킬셋들의 게으른 반복이며, 각종 정수는 대상 스킬의 형태나 방식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한다. 그저 색깔 놀이 마냥 붙어있는 속성 태그에 따라 쓰리매치 퍼즐 게임을 하듯 빈칸을 채우며 미미한 수치 놀음을 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그마저도 정수 업그레이드가 받쳐주지 않으면 유의미한 변화를 느낄 수 없다.오만함
이렇듯 개발팀 리자드 스무디는 액션 로그라이크를 참칭하면서도, 엔터 더 건전의 탄막이든, 뉴클리어 쓰론의 거리 조절이든, 스펠런키의 창발적 연계든, 리스크 오브 레인 속 스킬과 아이템의 조합이든, 자신들이 뭘 만들고 있고 그것이 장르의 계보에서 어떤 위치에 놓일지 통시적으로 분석하고 고민한 흔적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 단 하나도 스스로 만든 부분을 찾을 수 없는 것이다. 그저 내가 히오스를 재밌게 했으니, 리스크 오브 레인을 재밌게 했으니 이런 기능 몇 개 베껴와 섞으면 괜찮지 않을까 하는 학부생 수준의 오만함만이 느껴진다. 통일성 없는 몬스터 디자인, 알 수 없는 지역 테마 등 누더기 골렘마냥 이 게임 저 게임을 얼기설기 엮어 만든 이 키메라는, 심각한 구조적 결함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이 아플정도로 원색적 글로우 범벅인 섀이더로 아닌척 하고 있다. 그 와중에 자랑스레 내보이는 꿈속으로의 여행이니 정수니 하는 각종 설정들은 리스크 오브 레인의 시스템 혹은 설정들과 '정확히' 1:1로 대응 가능하다. 굳이 단어의 수준과 설정의 독창성이 양판소 혹은 웹소설 지망생의 수준임을 짚을 필요도 없다는 것이다.신토불이를 넘어
시리즈 투자유치를 자랑스레 개발팀 홈페이지에 적어둔 '청년 창업가'의 아비투스 속에 갖혀있으면서도 인디라는 이름으로 국가 세금에 기생하고, 잘 만든 타사 게임 몇 개 섞어 버무리면 어찌저찌 한 탕 해먹을 수 있겠다는 망상이 통할 거라고 생각했다면 제발 생각을 고쳐먹길 바란다. 당신이 만든 게임은 장르에 대한 모욕이자 당신이 베낀 게임 개발자들의 노고에 대한 모욕이다. 반짝거리는 마케팅 에셋 들고 거대 퍼블리셔 피칭 순회 돌며 투자금 당겨온 걸 자랑할 시간에 자기가 베낀 선배들이 남긴 유산이 어떤 맥락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이뤄낸 성취들인지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게 먼저 아니냔 말이다. 대체 왜 한국 인디 게임 플레이어들은 이런 대우를 받아야하는가? 왜 학생이란 이름 뒤에, 인디라는 이름 뒤에, '국산' 이라는 이름 뒤에 숨어 도떼기 시장 보따리상이 가져온 해적판 수준의 열화 카피 제품에 대단함을 느껴야 하는가. 왜 한국 게이머들은 수준 높은 플레이 베이스를 갖고 훌륭한 게임들을 선별할 뛰어난 안목들을 가졌음에도, 단순히 희귀하고 시장이 작다는 이유만으로, '그래도 이정도면 괜찮다는 배려'로 이런 표절 비빔밥을 맛있다고 먹고 있어야 하는가. 세상은 넓고 좋은 게임은 많다. 제발 당신의 시간과 돈을 아끼길 바란다.1 votes funny
76561198197683781

Recommended4 hrs played (1 hrs at review)
딱 좋구만 재미있음
그런데 친구없으면 안할거 같긴함
멀티 기능 있어서 친구랑 같이 하면 진짜 재미있음
친구없는 사람에게는 추천 하기에는 좀 아닌듯ㅋ
1 votes funny
76561198035191394

Recommended6 hrs played (3 hrs at review)
스킬난사 으허~~~ 이게 핵앤 슬래시고, 로그라이크지~~~
병신들
매달 59459304528개씩 쏟아지는 스킬20348123490개 난사 뱀서류 안하고
왜 여기서와서 데모랑 다르다고 땡깡부리는지 모르겠네
POE2개발중인 그라인딩 기어 게임즈는 장르에 대한 모욕을 했다고 보이콧 하실분들
1 votes funny
76561197972775652

Recommended1 hrs played
지스타 때 시연 후에 정발 소식에 바로 구매 했습니다. 축하드려요
지스타 데모 ~ 프롤로그부터 해왔는데요, 게임의 템포가 많이 바뀐 느낌이네요
각 1판 당 플레이 주기를 강제로 길게 늘린 느낌이에요, 그래서 쿨타임 피드백이 나오는 것 같구요.
다만 게임성 자체, 액션성에 연속 된 조작감 등은 최근 해본 게임 중에 최상위라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재밌게 즐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votes funny
76561198119233033

Recommended13 hrs played (4 hrs at review)
1 votes funny
76561198391893509

Recommended25 hrs played (16 hrs at review)
데모, 프롤로그에 이어 정식 출시 후 잠시 겜을 들어가봤는데 숙련도 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완전 생뉴비가 된 느낌입니다.(회귀해서 스킬은 알고있지만 조건이 안돼서 못 쓰는 그런 느낌..)
구매하자마자 남기며 새로 키우는 맛을 다시 느끼러 떠납니다
=====================================================================
오픈 플레이 간단 리뷰 남긴 이후 플레이 해본 결과
1. 데모를 해봤던 유저들의 도파민 감소 하지만 다양해진 빌드로 인해 새로운 경험이 있음
데모, 프롤로그 때처럼 레벨업, 성장 폭과 속도가 빠르지 않아서 초반 도파민이 부족함
예전처럼 스킬트리 전부 찍는다고 다 사용 가능한게 아닌 것과 난이도별 어려움 정도가 커진게 크다고 봄
단, 새로 바뀐 시스템에 적응하고 빌드 맞춰지면 예전만큼은 아니더라도 최종보스가 막페까지 30초가 안걸리는 괴랄한 빌드가 만들어짐(신캐로 해봄)
2. 출시 직후 성장의 불편함이 컸지만 당일 신속한 핫픽스
일단 위 내용에서 말했던 빌드를 맞추려면 숙련도가 필요한데 초반에 올리기 너무 힘들었음(핫픽스 직전까지 했을 때 신캐 다 열고 숙련도 총합40까지 찍음)
그런 불편함과 스킬트리를 찍을 재화부족을 당일 핫픽스로 어느정도 해결해줌.
앞으로도 유저들의 목소리를 잘 들어주고 반영하는데에 신경써주는 것을 유지만 해준다면 좋을듯
3. 협동 게임이다보니 추가 콘텐츠가 기대됨
마지막은 데모때부터 느꼈지만 협동게임이라 이후 시련이나 도전 콘텐츠가 나와도 혼자 했을때와 협동으로 했을때의 경험이 달라 재밌을 것 같음.
지금이야 이름이나 캐릭 머리, 하의에 끼는 장식만 있을 뿐 추후에 캐릭별 스킨이 나오면 더 다양하게 보는 맛이 있을듯함.
특히 특수한 업적을 달성 했을 때 또는 한정맵을 열어서 조건을 달성했을 때 주는 한정 스킨이 있으면 얻고자 플레이를 지속할 수 있을듯?
결국 업데이트나 밸런스 패치는 개발사의 몫이겠지만 잘 됐으면 함
1 votes funny